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NEWS

News

How to Implement Quality Oversight at Shop Floor Level

관리자 2025-04-01 조회 64


운영 수준에서의 품질 감독(Quality Oversight)은 많은 이점을 제공한다. 회사의 품질 문화(Quality Culture)는 긴밀한 연계를 통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생산 현장에서 직접 품질 감독을 구현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무엇일까?

 


운영 중심의 QA 기능이 존재하고, 생산 현장 품질 보증(QA) 도입 이전부터 세부 수준에서 협력한 경험이 있다면, 두 영역 모두 원활하게 전환할 수 있다. 시각적 관리(Visual Management), 5S, 카이젠(Kaizen) 또는 표준 작업(Standard Work)과 같은 일상적인 운영에서 린(Lean) 관리 도구를 공동으로 통합하고 사용하면 함께 성장하고, 발전하며,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회사에 운영 품질 관리를 성공적으로 도입하려면 여러 가지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도입은 QA와 운영 부서 간의 협력을 위한 의도된 결정이며, 부서 간의 장벽을 허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지속적인 성공을 거두고, 잠재적인 이점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경영진의 시간, 자원 및 지원이 필요하다. 목표는 관리 기능과 문제 및 개선을 위한 협업 간의 균형을 적절히 유지하는 것이다.


 

운영 품질 보증(Shop-Floor QA)을 위한 성공 요소

현장 QA 직원은 해당 분야에 대한 전문성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교대 근무 인력이 충분히 확보되고 일관되게 배치된다.

QA와 운영 부서 간의 업무 및 책임이 명확하게 할당된다.

명확한 의사소통 및 보고 체계가 유지된다.

그림 1: 운영 QA의 성공 요소

 

협업을 위한 필수 기반은 QA 직원이 운영 부서 직원들에게 신뢰를 받고 받아들여지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다.


제품 및 공정, 품질 요구 사항에 대한 경험과 지식

의사 소통 기술

의사 결정 능력

갈등에 대처하는 능력


중요한 QA 업무는 관찰 및 평가의 성격을 띠기 때문에 운영 부서 직원은 부정적인 피드백에 불쾌할 수 있다. 이는 QA 직원의 역량과 경험에 대한 격렬한 논의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전문적인 역량 외에도 효과적인 의사소통, 결정력, 갈등 관리 능력과 같은 소프트 스킬이 중요하다. 또한, 이전까지 운영 부서에서 근무했던 QA 직원을 배치하는 경우,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도입 과정은 관리자가 모니터링해야 한다. 모니터링의 주요 목적은 공정과 제품을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는 것임을 분명히 해야 한다. 이것은 공통의 목표로 전달되어야 한다. 현장 QA는 단순히 감독적인 역할만 수행한다고 생각해서는 안 되며, 자신의 역할을 보다 적극적이고 협력적인 방식으로 수행해야 한다.

 


충분하고 일관된 교대 근무 인력 배치


생산 현장 QA 도입을 결정함에 따라, QA 인력 및 작업 공간과 같은 필요한 자원을 운영 환경에 제공해야 한다. 기존 근무 시간 모델(예: 교대 근무 모델)도 고려되어야 한다. 필요한 QA 직원 수는 특정 업무 기준으로 계산할 수 있다. 예정된 결근 및 예기치 않은 결근(질병, 휴가 등)을 처음부터 고려하는 것이 권장된다. 현장 QA 지원의 실질적인 실행은 특히 여러 생산 라인이 동시에 가동되고 일탈이나 이상이 감지되는 경우 상당히 어려울 수 있다.


교대 근무의 일관된 인력 배치는 현장 QA와 운영 부서 간의 신뢰 기반 협력을 구축하고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현장 QA 직원들을 위한 충분하고 적절한 작업 공간이 확보되어야 한다.

 


QA와 운영 부서 간의 업무 및 책임의 명확한 분배


의미 있는 방식으로 협력을 진행하면서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QA 및 운영 부서의 업무를 명확하고 일관되게 설명해야 한다. 이상적으로는 개별 공정 단계에 대해 이를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는 지적 사항 또는 이상 발생 시 의사 결정 권한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업무의 우선 순위에 따라 교대 근무 계획을 조정하는 일은 운영 부서 리더가 현장 QA의 지원을 받아 수행한다. 이는 생산 라인에서 어떤 작업 및 활동을 실행할지의 순서에 관한 문제이다.


 

명확한 의사소통 및 보고 체계

 

현장 QA와 운영 부서 간의 의사소통 채널이 어떻게 작동해야 하는지 처음부터 정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어떤 주제와 업무에 대해 누구와 소통해야 할지를 명확히 해야 한다. 공정 단계에 대해 특정 지원을 요청할 수 있는 사람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이상적으로는 팀 리더를 통해 우선 순위를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작업 중심의 정보를 교환하는 것 외에도 관찰사항이나 식별된 위험(identified risks)을 전달하는 것도 중요하다. 여기에는 긍정적 관찰사항과 부정적 관찰사항 모두 포함되며, 이는 직원과 팀 리더에게 직접 전달되어야 한다.

 


의사소통 채널 외에도 명확한 관리 보고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밀접한 협업을 통해 운영 부서 및 품질 보증 부서는 요구 사항에 대한 협조된 이해를 갖고 있어야 한다. 이는 운영 부서와 품질 관리 기능의 적극적인 협업을 고려한 조직도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직무 기술서는 현장 QA 직원들의 보고 의무와 징계 라인을 명확하게 정의해야 한다. 이는 품질 관리와 직원의 운영 참여 측면에서 독립적인 의사결정 권한을 모두 반영하기 위해 필요하다. 이러한 조직도의 간단한 예는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현장 QA 직원의 직속 관리자는 품질 보증 책임자이며 해당 교대 근무 팀 리더에게는 (점선으로 표시된) 추가적인 보고 라인이 있다.



 

 그림 2: 생산 현장 QA를 포함한 조직도의 예

 

GMP VERLAG에서 원문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