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NEWS

News

Quality Risk Management: What’s new in ICH Q9(R1)?

관리자 2025-04-01 조회 57


2005년 ICH 가이드라인 Q9 '품질 리스크 관리(QRM)'의 도입은 제약 규제 제도에 QRM 접근법을 도입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규제 기관과 업계는 QRM 원칙이 의도한 대로 적용되지 않고 있음을 인식했다. 이에 따라 Q9 가이드라인은 2023년 (R1) 버전으로 개정 및 공표되었다. 원래 2005 버전의 기본 원칙과 개념은 유지되었지만 의도된 명확성을 달성하기 위해 추가되었다.

 


가장 중요한 변경 사항에 대한 요약은 다음과 같다.

 


Chapter 4 'Quality Risk Management Process'


QRM 프로세스 흐름도가 수정되었다. QRM 용어 정의는 변경되지 않았지만 이제 더 일관되게 적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스 단계인 'Risk Identification'의 이름이 'Hazard Identification'로 변경되었다. 또한, Section 4.3 'Risk Assessment'에서는 'Risk Identification' 대신 'Hazard Identification'이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변화의 배경은 무엇일까? 'risk'라는 용어는 항상 hazard, 그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에 대한 harm, 이러한 harm의 심각성과 발생 확률의 조합으로 정의되었다. 그러나 실제로 'risk'라는 용어는 종종 모든 것을 포괄하는 용어로 사용되었다. 새 버전의 지침에서 변경된 내용은 'risk'와 ‘hazard'의 구분을 명확히 하여 용어가 정의에 따라 실제로 일관되게 사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Chapter 5 ‘Risk Management Methodology’


세 개의 새로운 섹션이 추가되었다.


5.1 ‘품질 리스크 관리의 형식화(Formality in Quality Risk Management)’

5.2 ‘위험 기반 의사결정(Risk-Based Decision-Making)’

5.3 ‘주관성 관리 및 최소화(Managing and Minimizing Subjectivity)


2005년에 제정된 QRM 원칙에 따르면 위험 수준에 비례하여 문서화의 노력, 형식 및 범위가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지침 해석과 관련하여 업계와 감독 당국에 불확실성과 혼란이 있었다는 것이 인식되었다. Section 5.1에서는 필요한 노력, 형식 및 문서 범위를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요소에 대해 설명한다.


ICH Q9의 기존 버전에서는 의사결정에 QRM 원칙이 적용되어야 한다고 언급되어 있지만, 바람직한 리스크 기반 의사결정이 실제로 무엇을 의미하고,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지, 이를 통해 의사결정을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에 대한 명확한 지침이 부족했다. Section 5.2에서는 위험 기반 의사 결정에 대한 가이드라인과 접근 방식을 설명하며, 이를 뒷받침하는 공정 및 제품 지식을 제시한다. 


업계와 규제 당국은 hazard와 그 영향, 즉 환자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 그 심각성이 사람마다 다르게 인식될 수 있음을 인정해왔다. 이는 위험 평가 결과의 주관성으로 이어져 QRM 프로세스의 유효성을 감소시킨다. QRM의 실제 목적과는 반대로, 이는 발생 가능성을 높이고 환자의 피해 발생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도 있다(예를 들어 발생 범위 또는 가능성을 과소평가하는 경우). 편향(bias)과 행동적 요인(behavioral factors)은 인식되고 통제되어 주관성을 배제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Section 5.3에 따르면 이를 위해서는 QRM 방법 및 도구 적용에 대한 전문성, 제품 및 공정에 대한 높은 수준이 필요하다.

 


Chapter 6 ‘Integrating of QRM into Industry and Regulatory Operations’


Section 6.1 '품질/제조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제품 가용성 위험을 해결하기 위한 QRM의 역할'이 추가되었다. 이 섹션에서는 공급 안정성과 그에 따른 제품 이용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품질 및 제조 요인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해당 요인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포함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조 공정의 변동성과 관리 상태

제조 시설 및 장비

외주 활동 및 공급업체 관리

 


요약: 개정된 ICH Q9(R1)은 업계 및 규제 당국이 품질 리스크 관리(QRM)를 적용하면서 얻은 경험을 반영하고 있다. 특히, 용어의 정확한 사용, 적절한 수준의 형식 및 노력, QRM 적용 시 주관성 배제와 관련이 있다.


GMP VERLAG에서 원문 찾기